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냉동배아도 태아? 냉동배아를 둘러싼 법적 쟁점까지 정리

by biz111 2025. 7. 15.

냉동배아

냉동배아란 무엇인가?

냉동배아는 남성과 여성의 생식세포(정자와 난자)가 수정되어 초기 배아 상태가 된 후, 이를 -196℃의 액체 질소에 보관하는 방식으로 냉동 저장한 생명체의 초기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시험관 아기 시술(IVF) 중에 다수의 배아를 생성하지만, 한 번에 이식할 수 있는 수는 제한되어 있어 남은 배아를 미래 사용을 위해 냉동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냉동배아는 보통 5일 정도 자란 포배기(blastocyst) 상태에서 동결되며, 수년 후에도 해동하여 임신에 성공한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냉동배아는 '생명'인가?

냉동배아는 세포학적으로 보면 생명 활동이 거의 없는 상태지만, 해동 후 자궁에 착상하면 인간 생명으로 발달 가능성이 있는 존재입니다.

이 때문에 생명윤리학자들과 법조계에서는 냉동배아를 단순한 세포 집합체로 볼 수 있는가, 혹은 '생명의 초기 단계'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왜 냉동배아를 보관하는가?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난임·불임 치료: IVF 과정에서 배아를 확보해 둘 수 있음
  • 암 치료 전 보존: 항암치료 전 생식능력 보존 목적
  • 고령 임신 대비: 나중에 임신을 시도할 수 있는 옵션 제공
  • 시술 성공률 향상: 반복 시술 시 활용 가능

의료적으로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지만, 법적 소유권과 사용 권한에 대한 논란도 함께 존재합니다.

신생아 발 사진

냉동배아를 둘러싼 대표적인 법적 쟁점

실제로 국내외에서 냉동배아와 관련된 법적 분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법적 쟁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소유권과 사용 권한

누가 냉동배아를 사용할 수 있는가? 부부 또는 커플이 이혼하거나 결별한 경우, 한쪽이 사용을 원하고 다른 한쪽이 반대할 경우 법적 분쟁이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배아는 공동 소유물로 보고, 둘 다 동의하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2. 계약의 유효성과 사전 동의서

병원에서 체결한 사전 동의서나 계약서에 따라 법적 해석이 갈리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임신 여부는 여성의 자기 결정권에 속한다”는 판례가 인정되기도 하고, 반대로 “생명창출에는 두 당사자의 동의가 필요하다”라고 보는 판결도 존재합니다.

3. 냉동배아의 폐기 문제

냉동 기간이 지나고 사용 계획이 없을 경우, 병원 측에서는 배아를 폐기하려 하지만, 생명윤리 측면에서 이를 반대하는 여론도 존재합니다. 일부 국가는 폐기 전 반드시 부부 동의가 필요하도록 법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국내 판례와 해외 사례 비교

국내에서도 이혼한 부부 간 냉동배아 사용 분쟁에 대한 소송이 있었으며, 법원은 일반적으로 “한쪽이 반대할 경우 사용 불가”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주(state)마다 판결이 다릅니다. 일부는 생명권보다 개인의 재생산 권리를 우선하며 사용을 제한하고, 다른 주에서는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인정해 사용을 허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https://youtu.be/qSj0r4Z06u4?si=g_m4vfDLioNLDNXe

출처 sbs 뉴스

 

생명윤리와 법의 균형

냉동배아는 생명인가, 재산인가? 이 질문은 단순히 과학적 문제가 아니라, 윤리, 철학, 법률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냉동배아의 소유와 사용은 개인의 생식 자유와 타인의 권리 보호 사이의 균형을 필요로 하며, 앞으로 기술 발전과 함께 더 정교한 법적 기준 마련이 필요해질 것입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딜레마

결론: 과학기술이 만든 생명의 딜레마

냉동배아는 불임 부부나 의료적으로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희망의 상징이지만, 그 사용과 소유에 대한 법적 판단은 아직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앞으로는 관련 법률의 정비와 더불어, 윤리적 기준과 사회적 합의가 함께 따라가야 합니다. 생명과 기술이 만나는 이 지점에서,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미래를 설계해야 할까요?

참고 자료: 한국보건의료정책연구원, 미국 생식의학회(ASRM), 2025년 국내 판례 자료